1. 월급의 종속에서 벗어나기, 자산의 관점으로 바라보기
급여일이 기다려지지 않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월급을 ‘생활비’를 충당하는 도구로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월급을 받기만 하면 ‘소득’이 들어오고, 그 소득은 기본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각종 지출로 흡수됩니다. 그리고 다음 급여일을 기다리며 매일 반복되는 소비와 지출 사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월급은 많은 사람에게 단지 월말까지의 생계를 위한 보충재로 여겨지며, 급여일이 기다려지지 않는 이유도 결국 이런 ‘소득과 지출의 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월급을 ‘자산의 일부’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월급은 단순히 오늘 하루의 소비를 위한 돈이 아니라, 나의 미래와 꿈을 위한 ‘자산의 기초’가 되어야 합니다. 즉, 월급을 받으면 우선 이 돈을 어떻게 자산으로 변환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월급에서 일정 부분을 저축이나 투자로 옮기는 습관을 들이면, 급여일이 단순히 ‘소비를 위한 날짜’가 아니라 자산을 늘려가는 중요한 시점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자산의 관점으로 월급을 관리하면, 급여일이 오히려 즐거운 일상이 될 수 있습니다. 매달 급여를 받을 때마다 ‘이 돈이 나의 미래 자산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더 큰 재정적 자유를 위한 첫걸음이 됩니다. 급여일이 기다려지지 않는 삶에서, 월급을 단순히 소비의 기회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자산을 늘려가는 기회로 바꾸는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2. 월급을 나누는 새로운 방식, 비율법칙
‘월급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것입니다. 대부분은 지출이 많고, 월급이 들어오는 대로 거의 소비해버리기 때문에 결국 급여일을 기다리며 불안한 생활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은 바로 ‘50/30/20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월급을 세 가지 주요 항목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으로, 자산을 불려가며 재정적 자유를 얻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50/30/20 법칙에서 첫 번째로 50%는 필수 지출에 할당됩니다. 여기에는 주거비, 식비, 교통비 등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 금액은 생활에 꼭 필요한 것들로만 제한해야 하며, 불필요한 소비는 이 범주에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즉, 필수 지출 항목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30%는 자유 지출에 할당됩니다. 이 부분은 취미, 외식, 여가 등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하지만 이 자유 지출이 너무 많으면 필수 지출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자산 축적이 어려워지므로, 이 부분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더 가치 있는 소비를 하는 방향으로 생각해보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20%는 저축 및 투자에 할당됩니다. 이 부분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월급의 20%를 반드시 저축하거나 투자에 활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20%를 ‘선택적’으로 나중에 쓰는 것이 아니라, 급여가 들어오는 즉시 다른 항목을 위해 빼놓지 말고 확보하는 것입니다. 자동이체를 설정하거나, 월급을 받을 때마다 바로 이 금액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산을 불려가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급여일이 두렵지 않은 삶을 위한 자동화의 힘
월급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원칙은, 돈을 어떻게 자동화할 것인가입니다. 급여일이 오면 ‘저축을 해야지’ 하는 다짐을 하더라도, 실제로는 그다음 소비에 끌려 예산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은 ‘자동화’입니다. 월급이 들어오는 즉시 일정 금액을 자동으로 저축하거나 투자 계좌로 이체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우리는 소비를 계획적으로 줄이고, 저축을 자동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자동화는 더 이상 수동적인 선택이 아니라, 우리에게 더 나은 재정적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월급의 일정 부분을 은행 자동이체로 저축 계좌나 투자 계좌로 보내게 되면, 우리가 그 돈을 사용하기 전에 이미 자산으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소비를 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불필요한 지출을 피할 수 있고, 자산을 축적하는 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의지력’에 의존하지 않고, 재정적 자립을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자동화는 월급을 받은 후 지출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줄여줍니다. 그 대신, 우리는 월급의 대부분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미래의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급여일이 오면 더 이상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자신감 있게 월급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급여일을 기다리지 않는 삶을 만드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월급을 기다리며 '돈을 벌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정신적 피로를 겪곤 합니다. 그러나 급여일을 기다리지 않는 삶을 만들기 위해서는, 월급을 받는 시점을 ‘기대하는 순간’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자신이 월급을 어떻게 관리하고, 그로 인해 어떻게 자산을 축적할지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데 달려 있습니다.
우리는 ‘월급은 생활비를 충당하는 수단’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월급을 받은 후, 어떻게 자산을 늘리고, 재정적 자유를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시각을 가져야 합니다. 하루하루의 작은 소비 절약과 투자, 그리고 자동화를 통해 우리는 점차적으로 부를 쌓을 수 있습니다. 급여일이 기다려지지 않도록 만드는 이 과정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재정적 기반을 마련해 주며, 더 이상 급여일을 기다리는 일이 아닌, 부를 쌓아가는 기회로 바뀔 수 있습니다.
급여일이 기다려지지 않는 삶을 만들기 위한 핵심은 바로 ‘월급을 자산으로 바꾸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월급을 받았을 때 그 돈이 자신을 위한 자산으로 축적되고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급여일은 더 이상 불안한 날짜가 아닌, 더 큰 미래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